반응형 제테크92 미국 IRA법에 큰 수혜를 받는 국산 2차전지 장비 대장주 '피엔티' 미국 IRA 법으로 인해 반사적으로 중국의 배터리 업체들은 견제를 받게 되었고 이와는 반대로 한국의 배터리 업체들은 큰 수혜를 받을 전망이다. 한국의 수많은 배터리업체 중 탁월한 기술력으로 국내 최고의 2차전지 장비 대장주인 피엔티도 또한 23년 큰 도약의 해가 될 예정이다. 피엔티의 강점 2차전지는 다양한 소재와 장비를 통해 여러 과정을 걸쳐 생산되지만 크게 나누면 아래와 같다. [전극공정 >> 조립공정 >> 활성화 공정 >> 팩공정] 이 중 2차전지 생산의 핵심은 전극공정으로 쉽게 말해 전의 음극과 양극을 나누는 과정으로 여기서 배터의 성능과 수명을 결정짓는 역할을 한다. 전극공정을 좀 더 세밀하게 나누자면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믹싱공정] >> [코팅공정] >> [롤 프레싱공정] >> [슬리.. 2023. 1. 4. 일본과 경쟁하고 있는 한국 최고의 반도체 웨이퍼 기업 'SK 실트론' 한국의 반도체소부장 기업들은 내수의 비중이 크다. 현실적으로 세계적인 반도체 소부장 기업들은 미국과 일본이 양분하고 있다고 봐야 한다. 다만 삼성과 SK하이닉스가 D램과 낸드분야에서 세계최고의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SK실트론은 국내 얼마없는 해외경쟁력을 가진 반도체 소부장기업 중 하나로 반도체 웨이퍼를 생산하는 기업이다. 특히 300mm 반도체 웨이퍼 분야에 있어 2018년부터 1위 일본의 신에쓰, 섬코에 이어 sk실트론이 세계 3위를 차지하고 있다. 기업개요 sk가 대주주인 비상장기업으로 반도체 Si 웨이퍼와 반도체 SiC 웨이퍼를 전문으로 생산하는 기업이다. 반도체 웨이퍼는 일종의 스케치북이라고 생각하면 되는 데 웨이퍼 위에 수많은 반도체 칩설계가 그려지게 된다. Si 웨이퍼는 아래와 같은 분야에 .. 2023. 1. 3. 삼성전자가 키운 반도체 국산장비 기업 '세메스' 대한민구의 먹거리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산업은 단연 반도체 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던 중 일본과의 무역분쟁을 겪으면서 반도체 소재와 장비의 국산화가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한국의 반도체 소부장 기업들 중 국제경쟁력을 갖춘 기업들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그중 삼성전자가 투자하고 있는 비상장 기업인 세메스를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시작은 일본합작 회사에서 출발했다. 2010년 10월 삼성전자가 다이니뽄의 지분을 전량 매입하면서 최종적으로는 삼성전자가 세메스 지분의 91.54%를 가지면서 대주주가 되었다. 반도체와 디스플레이의 장비 판매와 유지보수 및 물류자동화 장비 관련 사업을 하는 데 특히 반도체 관련장비가 중요 사업영역이다. 세메스 반도체 장비사업영역 Photo(코딩.. 2022. 12. 30. 삼성전자의 치킨게임과 절체절명의 위기를 맞이한 sk하이닉스 삼성전자가 치킨게임을 시작했다. 과거부터 지금까지 풍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삼성전자는 D램 반도체 시장에서 경쟁업체를 하나둘씩 제거해왔다. 그리고 지금 현재, 이제는 그 칼날이 sk하이닉스와 마이크론으로 겨누어졌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실적 발표를 통해 D램 반도체 가격의 하락 우로 인해 영업이익의 큰 감소가 있었다. 그 후 삼성과 SK의 행보가 달랐는 데 우선 SK 하이닉스는 투자비용을 절반 넘게 줄이면서 재고소진과 D램 반도체 가격을 방어하기로 결정했다. 이와는 반대로 삼성은 상당부분 적자를 감소하더라도 오히려 시설투자를 늘리면서 공급량을 늘리기로 결정했다. 결국 두기업의 다른 행보로 말미암아 D램 반도체와 NAND의 가격은 하락할 것이고 반도체 시장의 불황의 길어질 전망이다. 물론 마이크론도 .. 2022. 10. 28. 이전 1 2 3 4 5 6 7 ··· 2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