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테크/미국주식

'삼성 파운드리는 이제 한수아래' TSMC 2022년 1분기 실적 분석

by 호미니드 2022. 4. 14.

 명실상부 '세계 최고 1등 파운드리 기업'이라는 명성답게 대만 TSMC가 2022년 4월 14일경 22년 1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처음 본 소감은 그냥 놀랍다 라는 말이 절로 나오는 미친 수준의 실적이었다.

 

 무려 영업이익률이 45.6% 이르는 말도 안 되는 수준이다. 참고로 TSMC는 제조업이다. 게임이나 IT기업이 아니라 순수 제조업 회사이다. 그런데 이런 말도 안 되는 영업이익률이 나왔다. 

 

 영업이익은 무려 9조원으로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 부문의 영업이익을 돌파한 수준이다. 이런 부분이 왜 그렇게 삼성전자가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파운드리 사업에 사활을 거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TSMC 실적

TSMC-실적발표
출처-https://investor.tsmc.com

 2022년 1분기 매출액은 4910억 8000만 대만달러(약 20조원)를 달성했다. 이는 전기대비 12.1%, 전년 동기 대비 무려 35.5%가 증가한 액수이다. 

 

 영업이익은 더 놀라운데  무려 2237억 9000만 대만달러(약 9조원)를 달성했다. 이는 전기대비 22.4%, 전년 동기 대비 48.7%를 기록했다. 

 

 삼성전자 반도체매출 부문의 추정 실적치는 약 8조 원으로 반도체에 있어서는 이미 TSCM가 삼성전자 추월했다고 볼 수 있다. 게다가 해마다 매출과 영업이익이 꾸준하게 성장하고 있다. 

 

TSMC-매출분야
출처-https://investor.tsmc.com

 7나노 이하 매출 비중이 전체 매출에 절반을 기록할 정도로 주력 분야이다. 이는 고부가 반도체로 대표되는 AP와 GPU 등의 매출이 절반을 차지한다고 봐도 될 정도이다. 

 

TSMC-기기별-매출
출처-https://investor.tsmc.com

 전체 매출에서 스마트폰 칩과 고성능 컴퓨터 칩(HPC)이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애플, 엔비디아, 이번에 합류한 퀄컴등 생산이 밀릴 정도로 전 세계 반도체 회사들의 주문이 쌓여있는 상태이다. 

 

 TSMC의 강점

 메모리반도체와는 다르게 시스템 반도체는 산업 사이클이 긴 편이다. 그러므로 삼성전자의 메모리 반도체 사업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매출의 변동이 적으면서 꾸준하게 우상향 한다 

 

 IT기기, 클라우드, AI등 첨단산업의 발전으로 인해 고성능 칩의 수요가 전 세계적으로 증가했다. 고성능 칩 생산이 가능한 7 나노 이하 초미세공정은 전 세계에서 단 두 곳, 대만의 TSMC와 한국의 삼성 파운드리이다.

 

 하지만 이인자로 알려진 삼성 파운드리는 이미 4 나노 수율이 30% 밖에 나오지 않고 같은 공정에서 TSMC에게 밀리므로 사실상 TSMC만이 유일하게 이런 초미세공정이 가능하다.   

 

 결국 TSMC는 이런 강력한 경제적 해자를 바탕으로 사실상 독점기업이 되었다. 설사 인플레이션으로 생산비용이 증가해도 여타 다른 제조업체와는 다르게 힘들지 않게 가격을 전가시킬 수 있게 되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