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테크/미국주식

아마존(NASDAQ:AMZN) 2022년 1분기 실적발표 및 주가전망

by 호미니드 2022. 4. 29.

 미국 시간으로 22년 4월 28일 아마존의 실적 발표가 있었다. 개인적으로 극심한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근로자들의 연봉 상승과 전쟁이 불러온 가파른 유가상승으로 22년 1분기 실적 전망은 좋지 못할 것으로 생각했다.

솔직히 저번 분기 실적발표때도 리비안의 투자성과가 없었다면 자칫 사장 전망치를 충족시키지 못할 뻔했으니깐 그런 걱정도 당연한 것이었다. 

 

 최근 미국 주식시장이 하락장 초입으로 들어서고 있기 때문에 반등을 위해서는 빅테크라고 불리는 기업들이 좋은 성과를 내야 된다. 자칫 실적이 안 좋게 발표되면 그것을 계기로 지수가 하락하는 단초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마존의 실적분석

 아마존의 이번 분기 실적을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어닝쇼크'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드물게 어닝쇼크가 일어났으며 앞으로 아마존의 주가 향방이 어두울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주식시장 특성상 실적이 안 받쳐준다면 설사 빅 테크라고 할지라도 하루에 10% 넘게 빠지는 일이 흔하게 일어난다. 

 

   매출은 1164.4억 달러로 시장 전망치인 1163억 달러를 소폭 상회했다. 문제는 EPS가 -7.56달러를 기록했는 데  처음 봤을 때, 내 눈을 의심할 정도였다. 시장 예상치인 8.36달러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EPS였다. 이는 2015년 이후 기록한 첫 손실이었다.

 

 리비안 지분의 18%를 들고 있던 아마존은 최근 주가 하락으로 인한 손실이 어닝쇼크에 주요 원인이 되었다.

아마존-재무재표
출처-SEC

  • 영업활동으로 발생한 현금흐름은 393억 달러로 전년대비 무려 41%가 감소했다. 
  • 순 현금흐름은 -186억 달러를 기록했다.
  • 매출은 전년 대비 7%가 증가한 1164억 달러를 기록했다. 
  • 영업이익은 37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무려 59%가 감소한 수치이다. 
  • 리비안의 투자손실로 76억 달러의 손해가 발생했다. 

 

아마존-실적평가
출처-SEC

  • 북미지역의 영업이익은 -15억 달러를 기록했는 데 전년 동기 대비 무려 145%가 감소한 수치이다. 
  • 글로벌 영업이익은 -12억 달러를 기록했는 데 전년 동기 대비 무려 202%가 감소한 수치이다. 
  • AWS의 영업이익은 65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7%가 증가한 수치이다. 해마다 꾸준하게 두 자릿수의 성장은 거두고 있고 아마존 영업이익의 상당 부분은 AWS에서 나온다고 보면 된다. 
  • 광고 매출은 78.8억 달러로 전망치인 81.7억 달러 비해 많이 감소했다. 

 

 아마존의 주가전망

출처-구글 파이낸스

 아마존의 충격적인 실적 발표 이후 시간 외 가격이 -8% 정도 떨어졌다. 미국 시장은 앞서 말했듯이 아무리 유명하고 거대한 기업이라도 실적이 못 나오는 순간 주가는 한없이 내팽겨 쳐진다. 넷플릭스와 같은 급격한 하락은 예상되지 않지만 한동안 떨어지는 주가는 어쩔 수가 없다. 

 

 다음 분기 매출 역시 1160~ 1210억 달러로 예상했는 데 기존의 1255억 달러에서 감소한 가이던스를 발표했다. 전 세계적인 공급망 이슈와 인플레이션으로 아마존의 향후 전망은 다소 불투명하다. 

 

 또한 아마존 프라임을 활용한 각종 온라인 판매와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등을 위해 막대한 투자와 인수합병을 이어나가고 있기 때문에 한동안 실적 개선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아마존 주가는 상당히 비싸고 환율도 고점이기에 자칫 섣불리 들어가면 이중으로 손해를 보기 때문에 신규 진입자는 관망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