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테크/한국주식

'반도체 생산은 나에게' 파운드리 업계의 숨은 강자 'DB하이텍'

by 호미니드 2022. 3. 30.

 반도체 수요는 해가 가면 갈수록 커지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은 IT기기의 놀라운 발전을 이끌었다. 수많은 전자제품들은 이미 우리 생활 깊숙한 곳까지 침투해 있고 이제는 떼려야 뗄 수 없는 지경까지 이르렀다. 예를 들어 '휴대폰 없는 하루를 당신은 버틸 수 있을까? ' 이미 어린아이부터 어르신까지 휴대폰을 통해 세상과 소통하며 교류하고 있다. 자동차도 더 이상 기계덩어리가 아닌 달리는 스마트폰이 되어가고 있다. 

 

 반도체는 이와 같은 IT제품에 들어가는 핵심부품이다. 컴퓨터를 시작하여 통신, 자동차, 가전제품, 산업기계, 컨트롤 시스템 등등 안 들어가는 곳이 없다.  그래서 수많은 사람들이 반도체를 산업의 쌀로 비유하곤 했다. 21년 기준 세계반도체 시장규모는 600조가 넘는 시장이다. 이중 시스템 반도체*는 전체반도체의 71%를 차지할 정도로 큰 시장이다.  

 

*시스템반도체- 데이터 연산 및 제어 등 정보처리 역할을 수행하는 반도체로 다양 제품으로 구성된다. CPU, AP(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등이 포함된다. 

 

 DB하이텍은 세계 10권에 들어가는 파운드리 업체다. 

 보통 파운드리 시장에서 유명한 양대기업은 대만의 TSMC와 한국의 삼성전자다. 실상은 TSMC사 압도적인 1등이며 삼성전자는 TSMC가 소화하지 못한 물량이나 자 제주 문으로 2등을 유지하고 있다. 이들 대기업은 고부가 고성능 반도체 생산에 특화 되어있다. 

 

 하지만 DB하이텍은 8인치 파운드리를 주력으로 하고 있다. 8인치는 웨이퍼의 크기로 피자 도우라고 생각하면 쉽다. 예를 들어 불고기 피자를 주문하면 (칩 설계) DB하이텍은 도우 위에 주문한 토핑을 뿌려 피자를 만들어 낸다. 

 

 8인치는 예전에는 별로 수익성은 없었다. 웨이퍼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더 많은 제품을 생산하는 데 8인치는 크기가 애매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코로나 이후 반도체 생산 및 공급이 불안정해지고 AI, 전기자동차, IOT 등 다양한 곳에 다양한 반도체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다품종 생산이 유리한 8인치 웨이퍼가 큰 인기를 끌게 되었다. 

 

 DB하이텍은 전력반도체, 디스플레이 구동칩, 센서등 다양한 아날로그반도체*를 생산하고 있으며 해마다 꾸준하게 성장하고 있다. 

 

 *아날로그반도체- 시스템반도체의 일종으로 빛, 소리, 온도 등의 아날로그 신호를 IT기기가 인식하 수 있도록 디지털신호로 바꾸어 주는 반도체이다. 

 

 폭발적인 반도체 수요에 맞춰 DB하이텍의 이익성장은 연일 최고점을 기록하고 있다. 

DB하이텍 실적증감
출처-다트

 최근 다트에 공시된 자료를 보면 알 수있듯이 폭발적으로 늘어난 반도체 수요에 맞춰  DB하이텍의

매출을 비롯하여 영업이익, 당기 순이익 모두 놀라울 정도로 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주목해야 할 점은 이런 반도체 부족현상이 일시적이 아니라 장기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데,

  • 아직도 반도체 공급이 수요에 비해 적다.
  • 전기자동차와 같은 고급 IT기기들은 더 많은 반도체가 필요하다.
  • 메모리 반도체에 비해 시스템반도체의 시장이 훨씬 더 크다.
  • 그러므로 반도체 사이클이 더 길게 유지된다.(성수기가 더 길다.)
  • 미중 패권 갈등은 세계화 시대에서 탈세계화 시대로의 변화를 촉진하고 이로 인해 생산과 공급의 효율성이 급격히 떨어진다.

 

 

DB하이텍 재무재표
출처-네이버금융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이익 전망치이다. 해마다 매출과 영업이익이 급격히 늘어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높은 반도체 수요와 국제정세로 인해 DB하이텍의 실적은 구조적으로 성장할 수밖에 없다. 

 

 

 

DB하이텍 주가수익률
출처-네이버금융

 주가는 이미 상당부분 많이 올라와 있다. 위의 차트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코스피와 동일업종 대비해 높은 수준의 주가 수익률을 보인다. 주가는 고평가의 영역이라고 생각하며 지금 당장 매수하기 보다는 떨어질때마다 분할 매수로 대응하는 편이 좋을 것 같다. 

 

 

 반도체 파운드리 시장은 새로운 기업이 들어오기 힘든 자본집약적인 산업이다.

 반도체를 생산하는 일은 고도로 전문적인 높은 수준의 시설관리가 필요하다. 미세한 먼지 하나에도 생산 수율이 떨어질 수도 있다. 그래서 많은 자본과 투자가 필요하다. 또한  고객사들과 오랜 시간 동안 신뢰관계를 형성하여야 한다. 이런 높은 진입장벽 때문에 초기 DB하이텍도 적자를 면치 못하고 고전하다가  본격적으로 돈을 벌기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았다. 

 

 앞으로 4차 산업 혁명으로 더 많은 반도체가 필요하며 미중 분쟁으로 인한 탈세계화는 생산과 공급의 비효율성을 일으켜 수요와 가격의 인상이 지속될 것이다. 

 

 그러므로 DB하이텍은 높은 경제적 해자와 세 시대의 변화에 부응하는 기업이라 생각한다. 

 

 

 

    

반응형

댓글